中美冲突时中国支持率只有1.1%(上) [韩国媒体]

“韩国国民对中国的好感度从2009年的51分骤降至2017年的42分。同期,对美国的好感度从65.1分上升到了66.5分。心理距离越来越远。”



“한국 국민의 중국 호감도는 2009년 51점에서 2017년 42점으로 급감했다. 미국 호감도는 같은 기간 65.1점에서 66.5점으로 높아졌다. 심리적 거리가 갈수록 멀어지고 있다.”

“韩国国民对中国的好感度从2009年的51分骤降至2017年的42分。同期,对美国的好感度从65.1分上升到了66.5分。心理距离越来越远。”

한국 국민감정이 미국으로 기울면서 중국과 멀어지는 친미소중(亲美疏中) 현상을 파헤친 중국사회과학원 아태·글로벌전략연구원의 왕샤오링(王晓玲·42·사진) 부연구원의 말이다. 그는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를 둘러싼 한·중 갈등이 절정이던 2017년 10월 한국을 찾았다. 사회학자인 왕 연구원은 한국 성인 1047명을 대상으로 한·중 관계를 조사했다.

这是中国社会科学院亚太与全球战略研究院副研究员王晓玲(42岁)的话。 她在中韩围绕高空区域防御(THAAD萨德)体系的矛盾达到高潮的2017年10月来到韩国。 社会学家王研究员以1047名韩国成年人为对象调查了中韩关系。

2009년에 이은 두 번째다. 결과는 중국 국가안전부 산하 싱크탱크인 중국 현대국제관계연구원(CICIR)이 간행하는 『현대국제관계』 2018년 10호에 「한국 민중의 ‘친미소중’ 현상, 원인과 대책」이란 제목으로 실렸다. 1년 전 사드 특집호를 펴내 한국을 비판했던 것과 180도 달라졌다. 천샹양(陈向阳) CICIR 한반도연구실 부주임은 2017년 『현대국제관계』에서 “중·러의 보복으로 한국은 장차 국가이익에 거대한 손해를 받아 (미국 선택을) 지속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这是继2009年之后的第二次。结果,由中国国家安全部下属的智囊团——中国现代国际关系研究院(CICIR)发行的《现代国际关系》2018年第10期以“韩国民众的亲美反中”现象、原因和对策为题进行了报道。 这与一年前发行萨德特别报道批评韩国的态度完全不同。CICIR朝鲜半岛研究室副主任陈向阳在2017年的《现代国际关系》中主张:“由于中俄的报复,韩国将来在国家利益上遭受了巨大的损失,(美国的选择)不可能持续下去。”

왕 연구원은 전략·신뢰·경제·감정 네 측면으로 악화일로인 한국인의 반중 감정을 조사했다. 우선 국가 안보 전략이다. 미국과 중국이 군사적으로 충돌했을 때 중국을 지지하는 한국인은 1.1%에 불과했다. 미국 39.2%, 중립 52.7%와 절대적 차이다. 한국인 30~40%가 한미동맹에 충실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안보상 미국과 연대하고 중국은 버리는 ‘연미기중(联美弃中)’ 기조가 확고하다.

王研究员从战略、信赖、经济、感情四个方面调查了韩国人的反华情绪。首先是国家安全战略。 在美国和中国发生军事冲突时,支持中国的韩国人仅占1.1%。这与美国的39.2%,中立的52.7%有着绝对的差距。30~40%的韩国人认为应该忠实于韩美同盟。安保上与美国联手,抛弃中国的“联美弃中”基调非常坚定。

신뢰감도 바닥이다. 북핵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나라로 미국이 41.2%인 데 반해 중국은 11.3%에 불과했다. 4분의 1 수준이다.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는 나라로 미국 27.1%에 비해 중국은 7.1%에 불과했다. 중국을 미국보다 더한 분단 고착 세력으로 보는 셈이다. 중국의 군사력이 한국에 위협이 된다고 보는 한국인도 80.5%에 달했다. 논문은 “국가 신뢰도에서 한국인은 미국을 신뢰하고 중국을 의심하는 신미의중(信美疑中) 현상이 두드러진다”고 풀이했다.

信赖感也跌至谷底。 作为有助于解决朝核问题的国家,选择美国占41.2%,而中国仅占11.3%,仅为四分之一。 作为支持朝鲜半岛统一的国家,与美国的27.1%相比,中国只有7.1%。 这等于是将中国视为比美国更大的分裂固定势力。80.5%的韩国人认为中国的军事力量对韩国构成威胁。 论文解释说:“在国家信任度方面,韩国人信赖美国、怀疑中国的信美疑中现象非常突出。”

정치적으로 냉랭해도 경제 교류는 뜨거운 ‘정냉경열(政冷经热)’ 현상도 겉모습 뿐이다. 경제 협력의 중요도를 100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한·중 경협은 62.5점으로 일본 50점보다 높지만 67.9점인 미국보다 낮았다. 50점 이상 긍정적으로 답변한 비율은 미국 76.1%, 중국 67.7%로 “미국은 중시하고 중국은 경시하는 중미경중(重美轻中)” 경향이 두드러졌다.

政治上冷淡,经济交流火热的“政冷经热”现象也只是表面。 以100分为尺度调查经济合作的重要程度结果显示,中韩经济合作为62.5分,高于日本50分,但低于美国(67.9分)。美国和中国分别有76.1%和67.7%的受访者表示:“重视美国,轻视中国,有重美轻中的倾向。”

국민감정은 미국을 사랑하고 중국은 혐오하는 애미혐중(爱美嫌中) 경향을 보였다. 자유롭고 개방된 나라를 묻는 질문에 한국인은 미국 64.3%, 중국 5.1%로 답했다. 공평하고 정의로운 나라 역시 중국은 4.9%로, 미국 25.7%의 5분의 1에 불과했다. 언어 보급률도 영어 92.7%로 중국어 56.9%를 압도했다.

国民感情呈现出爱美厌华的倾向。对于自由开放的国家,64.3%的韩国人选择了美国,5.1%的中国人选择了中国。 公平正义的国家中,中国为4.9%,仅为美国25.7%的五分之一。 语言普及率方面,英语达到了92.7%,远远超过了汉语的56.9%。



친미반중 현상의 장기화 추세도 심각하다. 한국인의 중국에 대한 반감이 구조적으로 고착되고 있다. 왕 연구원은 서울대 통일연구소의 연례 ‘통일의식조사’ 결과를 분석해 2013년부터 중국을 위협대상으로 여기는 29세 이하 젊은 층의 비율의 60대 이상 노년층을 넘어섰다고 지적했다. “젊은 진보, 늙은 보수”라는 통념이 깨지면서 혐중 감정은 세대교체에도 악화될 전망이다.

亲美反华现象的长期化趋势也非常严重。 韩国人对中国的反感正在结构性地固定下来。王研究员对首尔大学统一研究所的年度“统一意识调查”结果进行分析后指出,从2013年开始,将中国视为威胁对象的29岁以下的年轻人超过了60岁以上的老年人。随着“年轻进步,老人保守”的传统观念被打破,反华情绪在世代交替中也逐渐恶化。

특히 한국이 중국을 보는 시각에는 냉전 이데올로기, 민족주의, 중국위협론 세 요인이 섞여 있다. 2004년 동북공정과 2005년 북한 김정일의 핵 보유 선언을 거치며 중국을 보는 국민감정이 처음으로 나빠졌다. 2010년 천안함·연평도를 거치며 중국이 북한을 보호한다는 인식이 각인됐다. 2017년 사드 갈등은 결정타가 됐다.

特别是,韩国看待中国的观点中包含冷战意识形态、民族主义、中国威胁论等要素。 2004年经历东北工程和2005年朝鲜金正日宣布拥有核武器后,国民看待中国的感情首次恶化。2010年经历天安舰、延坪岛事件后中国保护朝鲜的认识深入人心。 2017年萨德矛盾成为决定性的打击。

논문은 한·중 관계의 사회적 기초부터 다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왕 연구원은 “이익으로 사귀면 이로움이 다하면 헤어지지만, 마음으로 사귀어야 오래 멀리 간다(以心相交 成其久远)”며 “사드 갈등을 교훈 삼아 정치·경제 영역에서 고위급 교류 플랫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과거 대기업 위주였던 한·중 협력을 실업으로 고통받는 한국 젊은 층과 중소기업 위주로 바꿔 청년층의 친미보수화 경향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문화 산업의 융합이 양국 사이의 동화를 촉진하는 데 유리하다”며 막혀있는 중국 자본의 한국 문화산업 투자 허용을 건의했다.

论文主张首先要夯实中韩关系的社会基础。王研究员建议:“如果以利益来交往,利尽则分手,唯有心心相印才能长久地交往。应该吸取萨德矛盾的教训,在政治、经济领域建立高层交流平台。”他接着主张:“应该将过去以大企业为主的中韩合作,转变为因失业而受苦的韩国年轻人和中小企业为主,防止青年层的亲美保守化倾向。”另外,他还表示“文化产业的融合有利于促进两国之间的同化”,建议允许中国资本对韩国文化产业进行投资。

노영민 전 주중대사(앞줄 오른쪽)가 지난해 8월 18일 오후 중국 랴오닝성 선양을 방문해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여파로 공사가 중지된 ‘선양 롯데월드’ 공사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중앙포토]

去年8月18日下午,前驻华大使卢英敏(前排右)访问中国辽宁省沈阳,参观了因驻韩美军萨德事件而停工的“沈阳乐天世界”施工现场。 [中央报道]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주한 중국 대사관이 한국을 상대로 한 공공외교에 실패한 결과”라며 “중국 당국은 사드로 상처받은 한국 국민감정을 직시하고 매력 외교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문화 교류를 막는 한한령 해제 등 조치가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경희대 주재우(중국어 학과) 교수는 “중국 관방 연구기관의 한국 현지 연구가 잦아지는 추세”라며 “한국이 미국에 일방적으로 기울지 않도록 적극 관리에 나서겠다는 신호로 읽힌다”고 풀이했다.

北京外交消息灵通人士表示:“这是中国驻韩国大使馆对韩国的公共外交失败的结果。中国当局应该正视因萨德而受伤的韩国国民的感情,致力于魅力外交。”部分人主张解除阻碍文化交流的限韩令等措施迫在眉睫。庆熙大学朱在宇(音译,中文系)教授解释说:“中国官方研究机构对韩国当地的研究越来越频繁。这被解读为,为了不让韩国单方面地向美国倾斜,将积极进行管理的信号。 ”

왕샤오링 연구원 “중국에 한·중 관계는 주변국 외교의 일부”

王晓灵研究员:中韩关系是周边国家外交的一部分

왕샤오링 중국사회과학원 아태글로벌전략연구원 부연구원

王晓玲 中国社会科学院亚太全球战略研究院副研究员

왕샤오링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소장파 한국 전문가다. 경희대에서 한국의 ‘연줄’과 중국의 ‘관시(关係·중국 사회 특유의 인맥을 가리키는 말)’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학 시절이던 2002년 한글로 『한국리포트』라는 문화비교서를 펴냈다. 지난 7일 만나 연구 소회를 물었다.

中国社会科学院研究员王晓玲是韩国专家。 她在庆熙大学凭借韩国的“关系”和中国的“关系”(指中国社会特有的人脉)比较研究获得了博士学位。 在留学时期的2002年,她用韩文出版了名为《韩国报告》的文化比较书。本月7日,记者见到了她,并询问了他研究的感想。

-사드를 과거 갈등과 비교 분석했다.

-您比较分析了萨德过去的矛盾和问题。

“사드 이전에 갈등을 어떻게 극복했던가 살펴야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포스트 사드’ 대안을 찾을 수 있어서다. 동북공정, 천안함·연평도 등 과거 한·중 정부는 갈등 속에서도 슬기롭게 여론을 ‘관리’했다. 여론 악화를 방치한 사드 때와 달랐다.”

“因为只有观察萨德之前如何克服矛盾,才能找到实质性的、可行的‘后萨德’对策。东北工程、天安舰、延坪岛等过去中韩政府在矛盾中巧妙地‘管理’了舆论。这与放任舆论恶化的萨德系统不同。”

-냉전 이데올로기·민족주의·중국위협론 중 한국 내 혐중 현상의 최대 원인은.

-冷战意识形态、民族主义、中国威胁论中韩国国内的反华现象的最大原因是什么?

“복합적이다. 한·중은 다른 이데올로기 배경을 갖고 있다. 한국은 사회주의에 도덕적 우월성과 편견이 강하고, 중국을 보는 불신감이 크다. 중국위협론은 한국만의 현상은 아니다. 민족주의 충돌이 가장 경계할 문제다.”

“很复杂。中韩具有不同的意识形态背景,韩国对社会主义有着强烈的道德优越性和偏见,对中国的不信任感很大。 中国威胁论并不仅仅是韩国的现象,这是民族主义冲突最值得警惕的问题。”

-사드 충돌이 격화됐던 이유는.

-萨德冲突激化的原因是什么?

“중국은 한·중 관계를 주변국 외교의 일부로 관리한다. 사드에 강하게 나설 수밖에 없었다. 국가 전략과 충돌하면 한국 예외론이 통할 공간이 없다.”

“中国把中韩关系视为周边国家外交的一部分,不得不在萨德问题上采取强硬措施。如果与国家战略发生冲突,韩国例外论将无立足之地。"

-한국과 북한을 대하는 중국의 국민감정은?

-中国对韩国和朝鲜的国民感情如何?

“일반 중국인은 북한을 한국보다 잘 모른다. 한국산 상품, 드라마, 여행 등으로 인지도는 한국이 북한보다 높다. 대신 정부는 한국과 북한을 균형적으로 본다. 한반도 안정이 최우선 정책 목표다.”

“普通中国人相较于韩国,不了解朝鲜。韩国产商品、电视剧、旅行等知名度比朝鲜高。但是,中国政府将韩国和朝鲜看得很均衡。 朝鲜半岛的稳定是首要政策目标。”


ahnt****
20대 혐중이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에서 중국 좋아하는 나라가 없다. 같은 민족인 대만, 홍콩, 마카오 지역에서도 중국 안 좋아한다. 지금 중국인들은 중국 탈출이 자본순이다. 돈 좀 있는 자국민들도 죄다 지네 나라 등지고 이민가는데 새삼스럽게 한국만 혐중 어쩌고 하냐?
답글39공감/비공감공감2639비공감15

不是20多岁青年反华的问题,是全世界没有喜欢中国的国家。同一民族的台湾、香港、澳门地区也不喜欢中国。现在,中国人摆脱中国是按照资本的顺序。 一些有钱的本国国民都背井离乡移民,难道只有韩国反华吗?

time****
우리나라도 돈좀있으면 이민가는 것이 현실
공감/비공감공감5비공감7

我们国家的人还不是有点钱就移民了。

whwn****
ㄴ어딜 짱깨랑 비교질이야 명예짱깨시민 이쉐요??
공감/비공감공감10비공감0

为什么拿我们和中国比较啊?

unis****
레알ㅋㅋㅋ 마치 한국인 20대만 혐중하는것처럼ㅋㅋㅋ 존나 물타기 지린다
공감/비공감공감11비공감0

呵呵,说得好像只有20多岁的人反华一样,呵呵呵。

jhpa****
생화학테러에 전국민들 죽어나간다.
공감/비공감공감2비공감9

全国民都死于生化恐怖袭击。

haeg****
부산 해운대에 지하철 타면, 제일 시끄러운게 짱깨년놈들이다! 그냥 씨부려댄다! 그다음이 서양 년들이다! 한국서 영어하면 먹어주는줄 안다! 부산사람들이 오히려 조용하다 느껴질정도다. ㅉㅉ
공감/비공감공감2비공감1

在釜山海云台坐地铁,最讨厌的就是中国人!就那么耍威风!其次是西洋人!在韩国说英语以为多厉害呢。釜山反而觉得安静。

feve****
사드때 그 패악질을 온 국민이 다 보았으니....... 사실 사드보복 전까지야 중국이 마켓이 크니까 우호적으로 보려는 입장이 많았는데, 사드사태 이후로 중국정부의 <일관성없는 시장경제 정책>을 보고서 다들 중국을 경계하게 되었지. // 게다가 중국의 국가전략상 외국제 물품을 점점 탄압할텐데, 그럼 중국이 한국에 시장으로서 의미도 없어지지.
공감/비공감공감23비공감0

萨德时全国人民都看到了中国的霸道……事实上,在萨德报复之前,中国市场很大,所以很多人想友好地看待这个问题,但在萨德事件之后,看到中国政府没有一贯性的市场经济政策,大家都开始警惕中国了。再加上中国的国家战略上逐渐打压外国产品,那么中国作为韩国市场的意义也就消失了。

gaya****
홍콩은 짱개가 얼마나 싫었으면 식민지 상징인 유니온기까지 흔들며 반중시위를 하겠음. 같은 짱개들도 대륙짱개는 극혐함.
공감/비공감공감11비공감0

香港得有多讨厌中国,才会举着象征殖民地的联合旗进行反中示威。虽然都是一样的掌柜,最讨厌大陆掌柜。

m893****
ㄹㅇ 중국말 하는거같은데 기본예의가 있으면 10에9은 대만, 홍콩 사람임 ㅋㅋㅋㅋㅋㅋㅋ 전세계 어딜가도 중국인은 지들끼리 뭉쳐서 지역경제 파괴하고 땅값 폭등시킴. 예전에 이승만~박정희 시절동안 화교들 때려잡아놔서 우리나라가 아직 이정도선인거지 다른나라들보면 진짜 심각함
공감/비공감공감16비공감0

说中文的人当中,如果有基本礼仪的,10个有9个是台湾、香港人,呵呵呵。全世界不管去到哪里,中国人都抱团,破坏地域经济。以前李承晚、朴正熙时候都防着华侨,现在我们还是这样的路线,真的很严重了。

spir****
분노가 느껴짐ㅋㅋㄲ
공감/비공감공감4비공감0

感觉到了愤怒,呵呵。

ajtw****
요즘 중국년하고 교제하고 있는데요.대한민국을 지들 속국이라 말하는 순간 어쩔수 없이 싸대기를 화풀릴때까지 때렸어요.정말 미친 사상을 가지고 한국에 유학온 짱깨들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1

最近跟中国人交往。在他说大韩民国是附属国的瞬间,我迫不得已地打了他们一顿。真正带着疯狂思想来到韩国留学的中国人。

kkks****댓글모음
중국은 한반도를 갈라놓고, 남한에서는,기술을 빼먹고, 부칸에서는 자원을빼 먹는 양다리 뽑아먹기, 작전을 하고 있는것이다 ㅡ누가 말했듯이 5천년 적국이다 !
답글26공감/비공감공감2002비공감14

中国把朝鲜半岛分割开来,在韩国偷技术,在朝鲜偷资源,正如那谁说的那样,中国是五千年的敌国!

bsyo****
민족분단의 원흉 중국공산당. 민족통일의 가장 큰 방해세력 중국공산당..
공감/비공감공감18비공감1

民族分裂的元凶中国GCD。民族统一的最大妨碍势力中国GCD。

unwa****
주변국에 한짓은 생각안하고 일본한테 패전하고 우리한테 무시당하는거 평생 원한으로 품고 있는 나라잖아 극동의 유럽처럼 전략적 통합은 가능성 제로다 가까이하고 싶지도 않다
공감/비공감공감16비공감0

不为周边国家着想,被日本打败,被我们无视,这不就是我一生的怨恨吗? 像远东的欧洲一样,战略融合是不可能零距离的,也不想接近。

阅读: